황금만능주의와 시장지상주의 속에서 모든 인간이 탐욕을 갈구하고 있다.
도덕과 공동의 이익을 추구해야 할 영역조차 경제논리에 설 자리를 잃어 가고 있는 현세에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야한다.
진정 이렇게 사는 것이 내가 행복해지고, 우리가 행복해지는 길인가를?
이 책은 근본적인 가치를 우리에게 묻는다. 모든 이에게 이책을 권합니다.
세상에는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요즘에는 그리 많이 남아있지 않다. 모든 것이 거래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보자.
.교도소 감방 업그레이드 : 1박에 82달러
.나 홀로 운전자가 카풀차로 이용하기 : 러시아워에는 8달러
.인도인 여성의 대리모 서비스 : 6250달러
.미국으로 이민하는 권리 : 50만달러
.멸종 위기에 놓인 검은 코뿔소를 사냥할 권리 : 15만달러
.의사의 휴대전화 번호 : 연간 1500달러 이상
.대기에 탄소를 배출할 권리 : 1톤에 13유로
.자녀의 명문대 입학허가 : 가격 미정
누구나 이러한 것들을 살 수 있는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요즈음은 돈을 벌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많다.
돈을 좀 벌어야겠다면 여기 몇 가지 가능성이 있다.
.이마나 신체 일부를 임대하여 상업용 광고를 게재하라 : 777달러
.제약회사의 약물 안전성 실험대상이 되라 : 7500달러
.민간 군사기업에 고용되어 소말리아나 아프가니스탄 전투에 참가하라 : 매달 250달러에서 메일 1천달러까지
.의회 공청회를 참관하려는 로비스트를 대신해 국회의사당 앞에서 밤새 줄을 서고 좌석을 확보하라 : 시간당 15~20달러
.학력이 부진한 댈러스 소제 학교에 다니는 2학년 학생이라면, 책을 읽어라 : 2달러
.비만이라면 4개월안에 체중 6킬로그램 감량하라 : 378달러
.아프거나 나이 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생명보험 증권을 사서, 피보험자가 살아 있는 동안 보험료를 불입하고 그들이 사망하면 사망보험금을 수령하라 : 수 백만달러
사고 판다는 논리가 더 이상 물질적 재화에만 적용되지 않고 점차 현대인의 삶 전체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이제 우리는 과연 이렇게 살고 싶은지 자문해봐야 할 때다.
전통적으로 비시장 규범이 지배하던 삶의 영역으로 시장과 시장 지향적 사고가 확산하는 현상은 현대에 발달된 가장 두드러진 모습 중 하나다.
영리를 추구하는 학교와 병원과 교도소가 늘어나고 전쟁을 민간 기업에 위탁하는 현상이 확산되고 있는 현실을 생각해보라.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민간군사기업의 수가 미국 군대의 수를 앞질렀다.
모든 것이 거래 대상인 사회에서 생활하기란 재산이 넉넉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더욱 힘들다.
따라서 돈으로 살 수 있는 대상이 많아질수록 우리가 부유한지 가난한지가 더욱 중요해진다.
좋은 것이라면 무엇이든 사고파는 세상에서는 돈이 모든 차별의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시장에 속한 영역이 무엇인지, 시장과 거리를 두어야 할 영역이 무엇인지 판단하려면,
해당 재화, 즉 건강.교육.가정생활.자연 예술.시민의 의무와 같은 재화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경제적인 문제에 그치지 않고 도덕적이면서 정치적인 문제다.
미국 대부분의 주는 회사가 직원 명의로 생명보험을 가입할 때 직원에게 알리거나 직원의 승낙을 받아야 한다는 규정을 두지 않았다.
기업소유 생명보험 증서의 대다수는 직원이 직장을 그만두거나 은퇴하거나 해고당하고 나서도 효력이 남아 있다.
따라서 회사는 퇴사한지 몇 년이 지난 직원의 사망보험금도 받을 수 있었다.
결국 청소부 보험은 보험증권을 매입해서 수혜자가 되는 회사와 보험증서를 파는 보험회사로 이루어진 쌍방의 자발적거래다.
영국법은 보험과 도덕에 제재를 가하지 않았고 둘은 거의 분간할 수 없었다. 18세기 들어 보험 '계약자'는 선거결과, 의회해산, 영국귀족의 사망 가능성,
나폴레옹의 사망이나 체포, 즉위 기념일을 몇 달 앞둔 여왕의 수명을 걸고 도박을 벌였다. 꽤 성공 가능성이 있어서 인기를 끌었던 투기도박의 대상으로는 군사작전과
포위공격의 결과, 거액의 보험에 들어 있는 로버트 월풀의 생명, 전투가 끝난 후 조지 2세의 생존 귀환여부 등이 있었다.
시장지상주의 시대는 공공 담론에 도덕적.정신적 실체가 상당히 부족했던 시대와 일치한다.
시장을 제자리에 놓을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은, 우리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회관행과 재화의 의미에 관해 솔직하게 공개적으로 숙고하는 것이다.
사회 전반에 걸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불평등이 점차 심화되면서 모든 것이 시장의 지배를 받는 현상은 부유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삶이 점차 분리되고 있다는 의미다.
우리는 서로 다른 장소에서 살고 일하고 쇼핑하며 논다. 우리 아이들은 서로 다른 학교에 다닌다.
민주주의는 완벽한 평등을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시민에게 공동체적 생활을 공유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려면 배경.사회적 위치.태도.신념이 서로 다른 사람들이 매일 생활하며 서로 마주하고 부딪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서로의 차이를 견뎌내고 이를 놓고 협상하고 공공선에 관심을 쏟는 법을 배울 수 있다.
따라서 결국 시장의 문제는 사실상 우리가 어떻게 함께 살아가고 싶은가에 관한 문제다.
모든 것을 사고팔 수 있는 사회에서 살고 싶은가?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고 돈으로도 살 수 없는 도덕적.시민적 재화는 존재하는가?
행복한 삶이란 각자가 가진 탁월성을 이룰 때 가능해진다.
개인에게 좋은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숙고는 그의 개인적 역량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각각의 삶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적절하고 올바른 판단, 그리고
그가 속하게 되는 공동체의 가치관 등과 밀접히 연결된다 이 모든 것은 덕을 행하는 인격형성의 문제로 나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