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가 제일 중요하다.
삶은 돌연한 사건과 우연한 만남의 연속으로,
우리는 훗날 돌아볼 때에야 비로소 그 모든 일들이 특별했음을 깨닫는다.
우리는 우리의 정원을 가꾸어야 한다.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데 겸손보다 좋은 것은 없다.
평범하고 그만하면 괜찮은 삶이란,
헛된 야망의 실현이나 비겁한 타협이 아니라 타인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려는 노력이라는 것을.
떠들썩한 성공 뒤에 숨어 있는 것들에 관심을 가지려는 의지라는 것을.
우리 각자는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극히 개인적인 환경에서 살아간다.
그는 대중으로부터 얻는 영광 대신, 자신만이 알 수 있는 성취를 통해 충만한 만족감을 느꼈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을 위해 연주하는 즐거움이 점차 자신만을 위해 연주하는 즐거움으로 치환된 것이다.
홀로 파리에서 지내고 있는 말테는
한 상점의 쇼윈도 안을 들여다보다가 한가롭게 앉아 천하태평하게 무의의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을 발견한다.
그들은 어떤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망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으며 성공이나 실패에 연연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말테는 이런 인물들에 매료된다.
"아무도 가게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얼핏 보면 장사를 하지 않는 것 같다.
안을 들여다보니 주인은 앉아서, 그냥 앉아서 만사태평으로 책을 읽고 있다.
내일을 걱정하지 않고, 장사 따위는 개의치 않으면서....
아, 저렇게 살아도 만족할 수만 있다면 이따금 쇼윈도에 물건이 잔뜩 진열된 가게 하나를 사서
이십 년 동안 개 한 마리와 함께 거기에 앉아 있고 싶다."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자신의 성취를 굳이 드러내지 않고 자신에게 온전히 집중하며 보다 충만한 삶을 살아가는 것.
그것이 평범해 보이는 이들의 비범함이다.
우리가 맺는 관계를 벗어나면, 우리는 아무것도 아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관습, 연대 역시 관계를 벗어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스피노자는 우리의 삶은 끊임없는 변화로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우리의 성격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상철르 주거나 용기를 주는 것들,
말하자면 다른 이들의 누에는 보이지 않는 사소하고 평범한 사건들에 의해 끊임없이 형성되고 변화한다.
우리의 개성 또한 우리의 상상력으로 실행되는 이미지의 수집과 조합의 산물이다.
지루하고 단순한 일상을 기꺼이 받아들일 줄 아는 사람은 우리에게 감동을 준다.
그의 삶은 결코 완벽하지 않고,
그는 그저 도달할 수 있는 목표를 향해 나아갈 뿐이며,
이는 그의 기쁨과 성취감의 원천이 된다.
우리의 노력이 우리를 만든다.
우리가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지 없는지는 대개 우연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가 걸어온 길만이 우리를 규정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의 삶이 진짜 시작되려면 아직 멀었다는 듯,
언제나 다음 일로 넘어가는 데 급급했어요.
본능적인 과시욕을 자제하려면 용기와 명철한 정신이 필요하다.
화려한 대저택을 소유하면 시기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삶을 들여다볼 줄 알아야 한다.
우리의 진실은 본질적이든 피상적이든 항상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 한 인간의 전부가 아니라는 뜻이다.
"사람들이 그토록 끈질기게 타인을 증오하는 이유 중 하나는
누군가를 증오하지 않으면 자신의 고통을 직면해야 한다는 것을 직감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보잘것없는 사람이라도 소설 속에서는 중요한 인물이 된다.
소설에는 우리의 경험을 확장시키는 힘이 있다.
삶은 결코 완벽하지 않고, 그저 도달할 수 있는 목표를 향해 나아갈 뿐이며,
이는 기쁨과 성취감의 원천이 된다.
인간의 본성은 실패보다 승리를 더 견디기 어려워 한다.
심지어 승리를 쟁취하는 것이 심각한 패배를 겪는 것보다 쉽다고 생각한다.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는 평범함 속에서 특별함을 찾아내는 것,
자작나무의 어린 새순이 세차게 흔들리는 것에 애정을 갖는 것이다.
가장 끔찍한 일은
'그렇게 될 수 있었으나, 그렇게 되지 못한 나'를 원망하는 일이다.
우리는 자신이 이미 이룬 것과 이루지 못한 것을 비교하며 이루지 못한 것에 더 애석한 감정을 드러낸다.
필립스는 살아보지 못한 삶이 왜 우리를 피해가며, 그 삶은 왜 절대로 실현되지 않았는지에 의문을 제기한다.
존재하지 않는 삶, '그렇게 될 수도 있었던 또 다른 나'는 왜 그토록 우리를 괴롭히는 것일까?
실패 역시 삶의 일부라는 것을 받아들인다면,
자기 과시와 덧없는 영광을 포기하는 것쯤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지금 이 순간이면 충분했고, 모든 것이 그 안에 있었다."


'좋은 글들 > 책에 있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가라 그뿐이다(대니얼 클라인 지음) (0) | 2025.03.19 |
---|---|
AI 강의 2025(박태웅 지음) (1) | 2025.03.05 |
책 출판: 어른 그림 일기 (0) | 2025.02.23 |
인생의 의미(토마스 힐란드 에릭슨 지음) (0) | 2025.01.25 |
유연함의 힘(수잔 애쉬포드 지음) (4)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