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죽어라 일하는데 점점 가난해지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다.
이들은 당신이라면 절대 하지 않았을 일을 하며, 한 끼 밥값도 안되는 돈을 월급으로 받는다.
그렇다고 우리와 전혀 상관없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는 가난한 나라의 농부, 광부, 어부, 공장 노동자들과 생각보다 밀접하게 얽혀 있다.
이들과 우리를 이어주는 대기업 덕분이다.
식품, 의류, 전자, 제약, 자동차 등 각 분야에서 이름만 들으면 알 만한 대기업들은 이들에게서 사들인 원료로 상품을 만들어 우리에게 판매한다.
대기업이 우리와 그들 사이에 다리를 놓는 셈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대기업과 가난한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인 동시에, 오늘도 그들이 만든 물건을 구입하는 우리 자신에 대한 이야기다.
감압 정지는 심해 다이버들이 필수적으로 지켜야 하는 안전 수칙이다. 공기통에는 질소와 산소가 섞여 있다.
이 두가지 기체가 폐를 통해 혈액으로 흡수된다. 산소는 잠수를 하는 동안 소진되지만, 질소는 몸속을 돌아다니다가 폐로 돌아가 이산화탄소와 함께 배출된다.
수심 30미터까지 내려갔을 때 우리가 마시는 공기는 어마어마하게 압축되어 있다. 문제는 질소가 몸속을 돌아다니다가 폐로 가기까지 1~2분이 걸린다는 것이다.
그런데 질소가 미처 빠져나가지 않은 상태에서 물위로 올라가면 남아있는 질소가 팽창하면서 동맥에 작은 기포를 만든다.
이것이 혈관을 막아 감압병(잠수병)의 원인이 된다. 불구가 되거나 심한 경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무서운 병이다.
콜레부스와 비슷한 처지에 놓인 젊은이가 4000명이 넘었다.
그나마 콜레부스는 운이 좋은 편이다. 다이빙 때문에 매년 50명이 목숨을 잃는다.
2010년 봄, 폭스콘이 국제적인 뉴스의 주인공이 되었다. 한 달 사이에 이 공장에서 일하던 직원 16명이 투신자살했다.
몇 명은 근무 중에 공장 창문에서 뛰어 내렸고, 다른 이들은 자신의 침실에서 뛰어내렸다.
공장 밖에 서 있는 동안 나를 단번에 놀라게 한 것은 노동자들의 나이였다.
대개가 10대 후반으로, 서양 같으면 이제 대학에 다니거나 아르바이트를 할 나이였다.................
서양 소비자들에게는 다소 낯설지 모르겠지만 폭스콘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애플, 노키아, 델, HP, 소니 마이크로소프트, 니텐도 등 누구나 알만한 브랜드의 제품이다.
애플의 수익률이 27퍼센트인 데 비해 폭스콘의 이익률은 단 4퍼센트에 그친다.
공급망에서 절약한 거액을 소매상인 서양 기업이 거두어들이는 것이다.
폭스콘의 공장 한 곳에서만 40만명의 노동자가 일하고 있다.
공장의 규모도 엄청나서 한 공장에서 다른 공장으로 이동하는 데 자동차로 30분이 넘게 걸린다.
공산주의 꼬리표는 아직 달고 있지만 중국은 극심한 개인주의 사회다.
그러고 보면 노동 조건과 관련해 자국이 덜 공산주의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나라는 거의 없다.
이에 더해 노동자보다 경영주의 이익을 더 지지하는 정부가 통치하는 사회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따위는 전혀 고려 대상이 이니다.
사장들이 영향력있는 정치인들에게 수표 하나만 써 주면 모든 귀찮은 일이 손쉽게 해결되는 현실에서 노동자들이 정부에 무엇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중국은 정부가 진정 원하는 일이라면 어떻게든 이루고마는 나라다. 그래서 이런 현실이 더욱 안타깝다.
노동자들은 대응하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압박이 거세질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사장이 휴식을 허락해 주는 경우는 화장실을 가거나 담배를 피울 때뿐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원래 여기 사람들은 담배를 안 피웠는데 이 회사에서 일하면서부터 피우게 됐어요. 담배를 피워야 더 많이 쉴 수 있으니까요."
갓 심은 고무나무가 다 자라려면 7년이 걸리는데, 그때가 되어야 라텍스를 채취해 자동차 타이어나 운동화를 만들 수 있다.
당시 루이펑의 고무농장도 라텍스를 채취할 수 있는 시기가 가까워지고 있었는데
1만헥타르에 달하는 전체 농장이 생산력을 갖춰 전면 가동되려면 5년은 더 기다려야 할 것이다.
중국 정치인들은 국내적으로나 국외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무리하게 강요하지 않는다.
중국관료들은 중국의 발전 단계를 미루어 볼 때 아직은 이런 윤리적 측면을 우선시할 때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윤리 문제는 풍족한 서양 국가나 감당할 수 있는 사치이다. 서양인들은 제국주의로 약탈한 자원을 이미 누릴 대로 누렸다.그런데 중국은 왜 안된다는 것인가?'
그들은 제국 건설에 따른 인류의 희생을 반복하려 하고 있다.
중국만 탓할 일은 아니다. 선진국 주요 기업들도 공모자다. 이들은 자신들의 상품을 생산하는 중국의 작업환경을 보고도 못 본 체했다.
"코너, 나 무서워요."
"나도 무서워요"
난 다시 웃었다. 물론 나도 무섭다. 내가 소리치는 것이 내 귀에도 들렸다.
"이 망할 책 쓰려다가 내가 죽겠어요."
시간이 지난 뒤에 나는 그 당시 계속 켜져 있던 녹음기로 이 소리를 듣게 되었다.
공포에 질린 내 목소리를 들으니, 그 컴컴하고 비좁고 위험한 터널을 희미한 횃불 하나에 의지한 채 더 깊숙이 들어갔을 때의 느낌이 되살아났다.
그것이 바로 내가 그곳까지 들어간 이유였다.
그것은 내앞에서 서둘러 앞으로 나아가던 보니페이스 같은 사람이 습관처럼 느껴야 했던 것이지만, 생계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건 채 땅속 깊숙이,
이 축축하고 더러운 사형장으로 매일같이 나아가면서 아마 더는 느끼지 않게 되었을 감정이었다.
갑자기 또 다른 공포가 몰려왔다. 바위가 벽에서 떨어져 나가는 광경을 지켜보고 있자니 몹시 불편해졌다. 여기서 나가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곡괭이로 내려칠 때의 요란한 소리 때문에 어지럽고 거북했다. 여기에서 일하려면 이런 공포에 둔감해져야 한다.
이곳 사람들도 먹고 살기 위해서 죽음의 공포를 한쪽 구석에 제쳐 둔 채 이곳에서 곡괭이질을 한다.
그들은 이 일의 위험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다. 삶은 가혹하다. 그들이 꾸려갈 수 있는 유일한 생계는 정글의 창자 깊숙한 곳에 존재했다.
폭풍이 경고없이 불어닥쳐 순식간에 물을 쏟아내고 산사태를 일으켜 이들을 산 채로 묻어 버릴 수 있는 이곳에.
나는 보니페이스가 흐릿한 불빛 아래에서 바위를 깍아 내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았다. 단 한순간도 놓치고 싶지 않았다.
그리고 몸을 돌려 서둘러 나왔다.
"내다 팔 작물을 가지고 시장으로 가다 보면 탈레반, 경찰, 도적들이 우리를 세웁니다. 통행료를 내라는 거죠.
그러면 결국 빈손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래서 양귀비를 기르는 게 더 낫죠. 양귀비는 살 사람이 직접 찾아오니까요."
'좋은 글들 > 책에 있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보신권(시니어 신무협 장편소설) (0) | 2012.09.02 |
---|---|
인생의 재발견(하르트무트 라데볼트/헐데가르트 라데볼트 지음) (0) | 2012.08.27 |
일생에 한권 책을 써라(양병무 지음) (0) | 2012.08.13 |
숲에서 온 편지(김동규 지음) (0) | 2012.08.12 |
한비자(한비 지음) (0) | 201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