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스스로를 존경할 수 있게."
그렇게 살아보자
"인간은 결국 감정이 전부"라는 것이다.
그런데 감정은 당장은 시그널이나 기호일 뿐이라 해독이 필요하다.
내가 갈 길을 알주는 실마리, 그것은 '감정'이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에게 아직 감정이란 달팽이가 침 흘린 흔적만큼이나 흐릿하고 모호하며 무엇보다 믿을만 하지 못하다.
쏟아내고 펼쳐 선명한 햇살을 쬐어본 적이 거의 없어서일 것이다.
자신의 감정을 나에게만큼은 드러내자.
아니 척하고, 그런 척하고, 그러고도 아무렇지 않은 척하기를 내려놓고 솔직해지자. 적어도 나에게만큼은.
사람은 쓸모있는 일만 하고 살면 숨구멍이 막힌다.
맺음이 끝이 아니라 풀어주는 것까지가 끝이다.
나는 상처받아야 할 때 충분히 상처받지 않았다""
'옳지 않을 일을 하지 않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경우'란 무엇이었을까....
"진짜 아픔을 느껴야 할 때 나는 결정적인 감각을 억눌러버렸다.
통절함을 받아들이고 싶지 않아서 진실과 정면으로 맞서기를 회피하고,
그 결과 이렇게 알맹이 없이 텅 빈 마음을 떠안게 되었다."
통증을 전혀 느끼지 않는 것이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는 말은 인생의 지침이 되었다...
배신당할까 신뢰하지 않고 버림받을까 사랑하지 않는다.
거부당할까 다가가지 않고 실망할까 기대하지 않고 실패할까 시도하지 않는다.
배신당할 일도 상처받을 일도 거부당할 일도 실망할 일도 실패할 일도 없다.
그래서 행복한가. 아프지 않아서 횅복한가.
마음에 상처가 없고 흉터가 없다는 것은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았고 사랑하지 않았다는 방증이다.
그의 마음에는 상처와 흉터가 없지만 광휘와 내력 또한 없다.
아픔이란 소중한 것을 잃어버렸노라 마음이 보내는 신호인데
상처도 흉터도 없다는 것은 소중한 것이 머문 적 없다는 소리가 된다.
심지어 자기 자신조차도...
<심리학의 원리>를 쓴 윌리엄 제임스는 육체에 변화가 나타날 때 그 변화에 대한 느낌'이 감정이라고 말한다.
감정을 인지한 다음에 육체의 변화가 나타나는 게 아니라 육체의 변화가 나타날 때 느끼는 것이 감정이라는 얘기다.
사랑을 해서 가슴이 뛰는 게 아니라 가슴이 뛰어서 사랑을 한다.
몸의 지각이 먼저이고 두뇌의 감지는 나중이다.
즐거워서 웃는 게 아니라 웃어서 즐겁다....
소중한 것이 생겨서 소중한 것이 아니라 소중하게 느껴서 소중한 것이 된다.
사고와 유추는 새로운 정보를 고유의 기억과 연결해서 그 결과를 상상하는 과정이다...
이런 뇌의 생리를 들여다보면 과거와 미래, 현재가 시간의 개념이 아니라 늘 동시에 존재한다는 생각이 든다.
지니간 때와 앞으로 올 때가 바로 지금 이 순간에 함께 실재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 알고 분명하게 표현하기만 해도 격한 느낌이 누그러질 수 있다.
그러다간 최후의 것마저 빼앗길 수 있다고 경고한다.
최후의 것이란 '자기 자신'이다. 무기력의 징후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우는 것 말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타인이 해결해주기를 기대하는 것, 행동하지 않으면서 희망을 품는 것...
"삶이 이대로라면 복수할 수밖에."
나는 로트렉처럼 복수를 다짐했고 동시에 그가 인정머리 없는 수준만큼 처절한 가난뱅이가 되기를 저주했다...
복수를 꿈꾸며 일어서는 것이 슬픔의 늪에 빠지기보다 차라리 이롭다.
분노는 마땅히 존중받아야 할 것이 존중받지 못했다는 정당한 신호다.
자신이 우위에 있다는 착각에서 나온 말이나 행동 등이 모욕이다.
왜 이런 착각이 생기는가? 이 역시 뜻풀이에 있다. '교만해서'.
정리하자면 멸시, 경멸, 무시, 비웃음, 업신여김, 깔봄, 얕잡아봄 등을 비롯해 모욕이란 잘나지 못해서 잘난 체하느라
타인을 실제보다 낮추어 보는 착각에서 하는 눈빛, 표정, 말투, 몸짓 등이다.
여기에 이르니 모욕은 굉장히 모자라는 마음이다. 그들의 착각은 그들의 것이다.
내 감정이 전염돼서 내가 나를 낮추어보는 착각은 하지 말자.
그들이 착각하는 나에 대해 해명하거나 변호할 필요도 없다.
그들의 생각이나 감정은 그들의 것이므로 내가 바라는 대로 통제할 수 없다....
노래 부르며 내 갈 길을 가면 되겠다.
이러니저러니해도 결국은 내가 간 길이 내가 그들에게 하는 답이 된다. 말이 아니라.
모욕을 당한다고 자신의 본질이나 실력이 깍이지 않고 추켜세운다고 올라가지 않는다.
나는 그대로 나이다. 기분만 날씨처럼 나빴다가 좋았다가 할 뿐이다.
생명의 특성이자 장점은 일관성이 아니라 변화이다.
일관성은 자연스럽고 당연한 게 아니라 오히려 억지스럽다.
그 일관성이라는 것의 정체가 무엇인가....
자신의 과거 의견을 계속 가지고 있을 뿐 그 시점부터 정신 또한 멈취버린 사람에 불과하다.
결국 정신의 태만이 신념을 만들고 있는 셈이다.
아무리 옳은 듯 보이는 의견이나 주장도 끊임없이 신진대사를 반복하고,
시대의 변화 속에서 사고를 수정하여 다시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 -프리드리히 니체-, <니체의 말>
존경할만한 인물이 없는 세상이라는 말을 흔히 하지만 혹시 타인을 존경할 마음이 없어서는 아닐까.
존경하는 마음이란 세상과 사람을 고귀하게 보는 시선이고 자신을 낮출 수 있는 마음이며
계속 배우려고 하는 자세다.
"오늘 얼마나 감탄했는가?"
자신감은 소질이 아니라 그간 공들인 시간과 노력에서 나온다.
자신을 낮춰 도움을 청하는 것까지가 노력이다.
도움을 청할 수 있는데 시도해 보지 않고 혼자 애쓴다면 노력을 다하지 않은 것이다.
한 사람이 인생의 과녁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이 10면,
그 분야에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갖추는 데 다시 최소 10년이 걸린다고 한다.
"당신이 스스로를 존경할 수 있게."
'좋은 글들 > 책에 있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좋은 삶을 위한 철학(마이클 슈어 지음) (0) | 2023.04.29 |
---|---|
나를 잃어버린 사람들(아닐 아난타스와미 지음) (0) | 2023.04.22 |
직장인이지만 공무원연금 받기로 했습니다(이영빈 지음) (0) | 2023.04.03 |
죽음의 수용소에서(빅터 프랭클 지음) (0) | 2023.03.22 |
80세의 벽(와다 히데키 지음) (1) | 202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