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관련 분야의 책은 어렵다.

일단 개념을 이해하는 입장에서 가볍게 읽었다.

 

호버링(Hovering) 일반적으로 헬리콥터가 공중에서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헬리콥터뿐만 아니라 3차원 운동을 하는 모든 운동체가 3차원 공간에서 정지된 상태를 일컫는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ty)는 가상현실(Virtual Realty)와 구분되는 용어다.

가상현실은 아무것도 없는 허구의 세계를 뜻하지만, 증강 현실은 현실을 기반으로 추가 자료를 증강하여 더 풍요하고 쓸모있는 자료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관성항법

관성 항법이란 관성계에서 나타나는 물리현상에 기반을 둔 항법을 뜻한다.

쉬운 비유를 찾아보자면 눈을 감고 목표를 찾아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미사일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지자계 센서로 이루어진 관성측정장치를 탑재하고 있는데,

가속도 센서는 속도의 변화량(가속도), 자이로스코프는 각도의 변화량(각속도), 지자계 센서는 방위각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관성측정장치의 정보를 토대로, 위치를 계산하는 장치를 관성항법장치라고 부른다.

 

심장박동은 스마트폰의 프레임을 타고 가속도 센서로 흘러들어가 진동의 형태로 측정된다.

그리고 손목이나 손가락의 혈관을 통해 느낄 수 있는 맥박은 카메라로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 렌즈 부위를 손가락으로 가리면 이미지 센서는 오직 손가락 끝의 조도 변화에만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렌즈 위에 얹혀진 손가락에서 발생한 맥박은 적색의 혈류 변화로 이어지고, 이;미지 센서는 그 순간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여 맥박으로 인식하는 매커니즘이다.

 

동작인식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선형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회전 벡터 센서

환경 센서: 주변 온도 센서, 온도 센서, 조도 센서, 기압 센서, 상대습도 센서

위치 센서: 지자기 센서, 방향 센서,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는 기울기와 가속도 두 가지 힘을 측정한다.

 

선형 가속도와 같이 움직이는 상태에서의 기울기(각도)를 측정하는 것이 자이로스코프의 역할로 '각속도'를 측정해 기준점에서 변화한 각도를 산출한다.

가속도 센서는 기본적으로 '가속도'를 측정해 물체의 기울기(자세)와 순간적인 이동량(가속도)을 산출하고, 적분과정을 거치면서 속도와 위치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는 순간적인 회전속도(각속도)를 측정하고, 그 정보에 대한 적분 과정을 거쳐 각도 정보를 산출하는 메커니즘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