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작품을 올바르게 감상하기 위해 신경을 썼던 것은 다만 세 가지 기본 상식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첫째, 작품 크기의 대각선 또는 그 1.5배만큼 떨어져서 본 것, 둘째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스다듬듯이 바라본 것,

셋째,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세부를 찬찬히 뜯어 본 것 뿐입니다.

 

과학자들도 사물을 보는 것은 눈이지만 그 눈은 오직 우리의 마음 길이 가는 곳만 신경을 집중할 뿐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니까 사실은 눈이 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 마음이 본다고 말할 수 있지요.

그래서 옛 그림을 진짜로 잘 보려면 옛 사람의 마음으로 봐야 한다고 말씀드린 것입니다.

그려진 작품도 마찬가지입니다. 화폭 속에는 여러 형상이 갖가지 모양으로 그려져 있지만, 요컨대 이 모든 것 또한 한 사람, 즉 화가의 마음이 자연과 인생에 대해 보고,

느끼고, 생각한 것을 묘사해 낸 것에 지니자 않습니다. 그러니까 결국 회화 감상이란 한 사람이 제 마음을 담아 그려 낸 그림을,

또 다른 한 사람의 마음으로 읽어내는 작업인 것입니다.

 

'성어중誠於中이면 형어외刑於外라' '마음에 내적인 성실함이 있으면 그것은 밖으로 그대로 드러나기 마련이다'는 말입니다.

또 다른 말도 있는데 '소위성기의자所謂誠基意者는 무자기야毋自欺也'라고 합니다.

즉 '그 뜻을 성실하게 갖는 것이 무엇인가? 바로 나 자신을 속이지 않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사실 퇴계 이황 선생께서 가장 중시했던 글귀가 바로 이 '무자기毋自欺' 즉 '나 자신을 속이지 않는다'는 말이었습니다.

 

문화는 꽃이다.

사상의 뿌리, 정치, 제도의 줄기, 경제, 사회의 건강한 수액이 가지 끝까지 고루 펼쳐진 다음에야 비로소 문화라는 귀한 꽃은 핀다.

지금 한국 문화는 겉보기에는 화려한 듯 싶으나 내실을 살펴보면 주체성의 혼란, 방법론의 혼미로 우리 정서와 유리된 거친 들판의 가시밭길을 헤매고 있다.

法古創新이라야 한다.

문화는 선인들의 과거를 성실하게 배워 발전적 미래를 이어가는 재창조 과정이다.

문화의 꽃은 무엇보다도 우리 시대가 김홍도 시대에 못지 않은 훌륭한 사회를 이룰 때에만 피어난다.

무엇보다 근본적으로 우리의 삶 그 자체가 아름다워져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