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다보면 너무나 소중한 글들이 있다.

혼자서 읽기엔 아까운 글들....

아래 내용은 밑줄친 글 중 중요하다고 여기는 부분을 옮겨온 것이다.

 

바람이 없어도 굴하지 않고 가만히 기다리며 언제라도 바람에 대응하는 긴장감, 그 노력을 사공에게 부여하고 '언젠가 바람은 불어 온다'라는 강한 신념을 지속시키는 것,

그것이 바로 '타력'의 작용 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타력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나 이외의 뭔가 커다란 힘이 내 삶의 방식을 떠받치고 있다는 사고방식입니다.

나 이외의 타자가 나라는 존재를 떠받치고 있다고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꿔 말하면 타력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우주의 커다란 힘이라고 해도 좋습니다.

커다란 에너지가 보이지 않는 바람처럼 흐르고 있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자기 혼자 힘으로 했다는 생각은 얕은 생각으로, 그 밖의 눈에 보이지 않는 커다란 힘이 내 운명과 관계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운명론도 아니고 숙명론도 아닙니다. 사람은 그것을 알때 자기를 초월한 커다란 자유를 느끼게 됩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고민할 수 있는 인간은 행복합니다.

아프리카를 비롯하여 세계도처에서 어쨌든 오늘을 산다, 내일을 산다, 라는 것에 급급하여 어떻게 살까같은 생각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이 무수히 많습니다.

그것 자체가 현대의 테마가 아닐까요?"라고 말입니다.

 

오감을 갈고 닦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크게 기뻐하고 깊이 슬퍼하는 것입니다.

크게 웃고 크게 눈물을 흘리면 됩니다.

깊이 슬퍼하는 사람일수록 크게 기뻐할 수 있습니다.

많이 눈물을 흘리는 사람일수록 크게 웃을 수 있는 것입니다.

사람은 때로 우울하고, 깊이 고민하고, 또 절망하는데, 그것 또한 인간의 정신을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크게 웃고 크게 울면 됩니다.

중요한 것은 바로 감정의 자유로운 진폭인 것입니다.

깊이 절망하는 인간만이 희망을 붙잡을 수 있습니다.

지독하게 고민하고 지독하게 번민하는 인간만이 진정한 확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웃는 건 좋지만 우는 건 좋지 않은 일로, 한 노모는 자기 아들이 전사했다는 소식을 접하고도 "나라를 위해 잘 죽었습니다"라며 조용히 미소 짓고,

"내년 봄에 야스쿠니 신사 벚꽃 나무 아래서 만납시다"라고 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가 군국의 어머니를 다룬 미담으로 신문의 큰 표제가 되어 칭송받던 시대가 있었는데, 이런 풍조는 전후에도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눈을 감은 채 중요한 것을 보지 않고 지내왔습니다.

그림자를 보지 않는다는 입장에서 지금까지 쭉 지내온 것이 최근 전후 60년이 아닐까합니다.

더 염려스러운 것은 한쪽 면밖에 보지 않는 사람이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중시되어 왔다는 것입니다.

 

"일본인은 결정적으로 절망하는 데 서툰 국민이다. 또 타자를 미워하는 데 서툰 민족으로 그런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국민이다"

절망하는 재능이 뛰어나지 않다. 그리고 무언가를 증오하거나 통렬하게 반성하는 데도 능숙하지 않다.

 

유연한 마음은 죽음과 대결하여 그것을 부정하면서 생겨나진 않습니다.

죽음을 응시함으로써 삶을 응시하고, 그것을 맞아들이는 가운데 생겨나는 법입니다.

위기 속에서 인간을 지탱하는 것은 사실 이런 유연한 마음이 아닐까요.

강하게 버티는 것만이 살아가는 기술인 것은 아닙니다.

 

 

 

 

+ Recent posts